[수원타임즈] 수원시 혁신학교 현황 -초등학교-
수원시 초등학교 중에 어느 학교가 혁신학교로 지정되어있는지 확인해보세요!
혁신학교란?
학생에게 능동적, 주체적 자세를 가르치기 위해 기존의 획일적 교육과정에서 탈피한 학교.
혁신학교로 선정된 학교는 특별예산을 지원받으며, 교육 커리큘럼을 자체적으로 짤 권한을 받습니다.
혁신학교와 자율학교 비교
혁신학교는 자율학교 유형 중 하나입니다.
자율학교란? 학교 또는 교육과정을 자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학교(초중등교육법시행령 제105조) 단, 경기도교육과정을 준수하는 선에서!
수원시 혁신 초등학교 현황(19.03 기준)
수원시내 총 98개 초등학교 중 21개 초등학교가 혁신학교로 지정되어 있습니다. (수원시내 전체 초등학교의 21.4%)
혁신 초등학교 21곳 중 광교초, 수원초, 우만초, 효원초 등 4개의 초등학교는 2019년 3월 혁신학교로 신규 지정되었습니다.
구별로 살펴보면, 혁신초등학교가 가장 많은 곳은 팔달구 (7개)였으며, 영통구 (6개), 권선구 (6개), 장안구 (2개) 순서로 혁신초등학교가 많았습니다.
* 참고로 경기도에는 총 1,263개 초등학교 중 378개 초등학교가 혁신학교로 지정되어 있습니다.(경기도내 전체 초등학교의 29.9%) 수원시의 혁신초등학교 비율은 경기도 평균에 비해 낮은 편입니다.
과연 어떤 초등학교들이 혁신학교로 지정되어있을까요?
1. 송죽초(공립)
– 소재지 : 장안구 송죽동
– 설립일 : 1986.02.14
– 유형 : 혁신학교
2. 매산초(공립)
– 소재지 : 팔달구 매산로3가
– 설립일 : 1945.04.26
– 유형 : 혁신학교
3. 오목초(공립)
– 소재지 : 권선구 오목천동
– 설립일 : 2000.03.02
– 유형 : 혁신학교
4. 매여울초(공립)
– 소재지 : 팔달구 인계동
– 설립일 : 2009.01.02
– 유형 : 혁신학교
5. 남창초(공립)
– 소재지 : 팔달구 남창동
– 설립일 : 1954.04.30
– 유형 : 혁신학교
6. 선행초(공립)
– 소재지 : 권선구 권선동
– 설립일 : 2011.10.01
– 유형 : 혁신학교
7. 영화초(공립)
– 소재지 : 장안구 조원동
– 설립일 : 1954.09.20
– 유형 : 혁신학교
8. 능실초(공립)
– 소재지 : 권선구 호매실동
– 설립일 : 2012.03.01
– 유형 : 혁신학교
9. 산의초(공립)
– 소재지 : 영통구 이의동
– 설립일 : 1949.09.23
– 유형 : 혁신학교
10. 연무초(공립)
– 소재지 : 팔달구 매향동
– 설립일 : 1967.10.07
– 유형 : 혁신학교
11. 매탄초(공립)
– 소재지 : 영통구 매탄동
– 설립일 : 1983.10.15
– 유형 : 혁신학교
12. 입북초(공립)
– 소재지 : 권선구 입북동
– 설립일 : 2004.03.01
– 유형 : 혁신학교
13. 숙지초(공립)
– 소재지 : 팔달구 화서동
– 설립일 : 1997.01.14
– 유형 : 혁신학교
14. 구운초(공립)
– 소재지 : 권선구 구운동
– 설립일 : 1988.04.02
– 유형 : 혁신학교
15. 영통초(공립)
– 소재지 : 영통구 영통동
– 설립일 : 1997.12.01
– 유형 : 혁신학교
16. 매원초(공립)
– 소재지 : 영통구 원천동
– 설립일 : 1969.03.01
– 유형 : 혁신학교
17. 서호초(공립)
– 소재지 : 권선구 서둔동
– 설립일 : 1954.11.09
– 유형 : 혁신학교
18. 광교초(공립)
– 소재지 : 영통구 이의동
– 설립일 : 2011.09.01
– 유형 : 혁신학교
19. 수원초(공립)
– 소재지 : 팔달구 고등동
– 설립일 : 1980.09.01
– 유형 : 혁신학교
20. 우만초(공립)
– 소재지 : 팔달구 우만동
– 설립일 : 1992.03.01
– 유형 : 혁신학교
21. 효원초(공립)
– 소재지 : 영통구 매탄동
– 설립일 : 1991.03.02
– 유형 : 혁신학교
출처 : 경기도교육청
기획 : 조지훈 / 디자인 : 임현진
Comments are closed.